미국에서 대학농구가 시작되었다. 남자 대학농구는 프로 스포츠 부럽지 않다. 상위권 대학 남자 농구부의 1년 예산은 1,000만 달러(135억 원 가량) 안팎. 2,800만 달러(380억 원 가량)를 쓰는 학교도 있다. 이 학교의 1년 수입은 방송 중계료 등 3,400만 달러(450억 원). 어마어마하다. 그만큼 높은 인기를 누린다. 대학 미식축구의 인기와 수입은 남자 농구의 몇 배나 된다. 우리나라 대학 스포츠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다. 프로 스포츠도 마찬가지.
■“스포츠에 죽고 못사는 배우”
그런 남자 대학농구가 점차 열기를 더해 가면 사람들은 배우 빌 머레이를 떠올린다. 올해는 언제 쯤 관중석에 나타날까?
그는 ‘고스트버스트’ ‘사랑의 블랙홀’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등의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명배우며 코미디언. 희극 연기를 하면서도 아무 표정이 없거나 진지한 모습을 보이는 걸로 유명하다. ‘에미’와 ‘골든 글로브’를 두 차례씩 받았다. 뉴욕비평가협회, 전미비평가협회 등 각종 비평가상에서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휩쓸었다. 아카데미 상 후보에 지명되기도 했다. 하지만 머레이는 “스포츠에 죽고 못사는 배우”로 명성이 높다
할리우드 배우들이 프로농구를 관중석에서 응원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의 주연 배우 잭 니콜슨은 LA 레이커스 시합을 자주 찾는 것으로 유명했다. 시카고 출신 머레이도 마이클 조단이 뛰던 시카고 불스의 열렬 관중이었다.
머레이는 농구뿐 아니라 프로야구와 미식축구 등 시카고의 모든 프로구단들의 매력에 빠졌었다. 한때 시카고 컵스 야구 경기의 초빙 해설자. 2007년 컵스가 중부지구에서 우승했을 때 클럽하우스의 샴페인 파티에 초대받을 정도였다. 2016년 ‘월드시리즈.’ 컵스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1대0으로 뒤지던 7회 초가 끝난 뒤 그는 관중석에서 일어나 마이크를 잡고 응원의 열변을 토했다.
그런 뒤 ‘나를 야구경기에 데려가 줘(Take me out to the ballgame)’이라는 ‘7이닝 스트레칭’노래를 불러 관중들의 떼창을 이끌었다. 머레이는 프로야구 마이너 리그 구단에 투자도 했다. 그야말로 스포츠 광이다.
■대배우의 아들 사랑
그러나 머레이가 대학농구를 사랑하는 이유는 특별하다. 이혼한 부인이 14세 때부터 홀로 키운 둘째 아들을 응원하기 위해서다. 머레이는 아들이 코치로 있는 코네티컷 대가 올해 3월 미국대학농구선수권 대회에서 다섯 번 째 우승하는 현장을 지켜보았다. 경기가 끝난 뒤에는 코트로 내려가 아들은 물론 감독, 선수들과 더불어 승리의 기쁨을 나눴다.
그는 64강전부터 결승전까지 한 시합도 빠지지 않았다. 텔레비전 중계도 머레이가 관중석에 모습을 드러내면 어김없이 비췄다. 대배우의 대학농구 사랑이 유별나기 때문. 그는 아들이 코치였던 대학들의 홈경기마다 거의 붙박이 관중이었다. 17년째다.
머레이 부자는 여느 연예계 명사들의 부자와는 너무 다르기에 더 큰 관심을 끈다. 연예계 2세들 가운데는 말썽꾸러기들이 수두룩하다. ‘대부’의 말론 브란도 아들은 살인으로 복역했으며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톰 행크스 아들은 마약 중독으로 체포되었다. 그러니 대학 최고 명문 농구부의 코치로 있는 머레이의 아들은 희귀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피는 못 속인다“고 한다. 콩 심은데 콩 나듯 헐리우드 2세들은 부모의 길을 밟는 경우가 많다. 커크 더글러스와 마이클 더글러스 부자, 마틴 신과 두 아들, 클린트 이스트우드 부자 등.
그러나 연예계와 스포츠는 전혀 다른 분야. 미국에서도 유명 연예인 부모를 둔 유명 운동선수는 매우 드물다.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패티 시알파 부부는 가수이자 작곡가·기타 연주가로 ‘록 앤 롤’ 명예의 전당에 함께 올랐다. 스프링스틴은 아카데미 상 이외에 그래미상만 20번이나 받았다. 그들의 딸은 승마 선수로 도쿄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