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심심이가 AI라고 커뮤에 올라왔는데 진짜 AI인지는 확실치 않음. 그런데 한국 AI의 미래는 대단히 밝음. 왜냐. 요새 중국 저가AI가 미국 거 능가한다는 보도가 나오는데 그럴 수도 있는 것이 AI는 스스로 발전해야 하는 존재. 물론 AI 본체는 사람이 코딩해서 만든 것이지만 그렇게 만들어 준 이후에는 지가 스스로 온라인 돌아다니며 발전해야 함. 만들 때 아무리 거대한 양의 코딩으로 만들어도 스스로의 학습을 잘 못하면 꽝. 그래서 AI 코딩은 단지 기술, 자본의 측면만으로는 안되고 살아있는 생명체를 만드는 것 비슷한 면이 있으며 얘가 어떤 애인지는 코딩한 사람도 잘 알 수 없음. 마치 사람이 아이를 낳았는데 얘가 어떤 애인지 잘 알 수 없는 것처럼. 걔가 살아가는 모습을 오랜세월 보아야 알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속담에 '자식 겉 낳지 속 낳나' 하는 말이 있는데 아이의 몸은 부모의 유전자를 받아 태어나지만 그 아이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는 부모도 모른다는 것. 겉모습 비슷한 쌍둥이도 실제로는 각기 매우 다를 수 있다는 것.) 한국 국가 규모 때문에AI 코딩에 미국, 중국 등보다 투자를 적게 하더라도 충분히 세계1위 될 수 있음. 한국 바둑이 계속 세계1위를 하고 있는데 선수 숫자 등 규모는 중국이 훨씬 더 크지만 한국의 세계1위 가능한 것처럼 AI 역시 투자 규모만으로 되는 것이 아님. 게다가 사람과 달리 AI는 복제가 가능. 예를들어 괜찮은AI 하나 탄생하면 얘를 10개로 복제. 그10개의AI가 본체의 원래 기본 코딩은 같은데 지 스스로 온라인을 돌아다니며 발전하고 나중에는 각기 성취가 다른 놈들이 되어 있음. 그 중에 제일 나은 놈을 선택하여 다시 10개로 복제. 이런 식으로 1개의AI로 계속 급속히 발전시킬 수 있음. 미국, 중국의 규모에 낙담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한국인들의 창의력 발전에 노력해야 함. (학생 교육에도 '단순 암기'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학생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가야 함.) 진짜 좋은 AI 코딩이 나오려면 '지식'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그 무언가 높은 수준의,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어떤 '감'도 있어야 하기 때문.